[기획] 쓰레기,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




[데일리환경=김정희 기자]

# 매일 쌓이는 쓰레기, 왜 줄여야 할까

우리가 하루 동안 버리는 쓰레기는 단순히 ‘집 안을 깨끗하게 하는 부산물’이 아니다.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기후변화를 가속하고, 온전히 재활용되지 못한 플라스틱은 결국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미세플라스틱이 된다. 이는 생태계뿐만 아니라 우리의 식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1인당 하루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약 1kg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절반 이상은 재활용이 어려운 형태라고 한다. 즉, 쓰레기를 줄이는 일은 곧 탄소배출을 줄이고 자원을 지키는 행동이 되는 셈이다.

# 쓰레기 줄이면 생기는 긍정적인 변화

의식적으로 ‘나부터’ 쓰레기를 줄이기 시작하고 그 힘이 모이면 커다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소각이나 매립 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와 유해물질이 감소하면서 환경 보호에 보탬이 된다.

또한 생산이나 운송 과정에서 쓰이는 에너지와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도 절약할 수 있다. 더불어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의식적으로 쓰레기를 만들지 않으려는 습관을 들이면 불필요한 포장재나 일회용품 구매 비용이 절약돼 생활비까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통을 비우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실내에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활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 작은 행동이라도 누적되면 큰 효과를 낸다. 예를 들어 하루에 일회용품 3개를 줄이면 1년간 약 1,000개의 쓰레기를 막을 수 있다.

# ‘쓰레기 줄이기 챌린지’ 이렇게 해보자

먼저 충분히 도전할 수 있는 기간과 목표를 설정한다. 1시간, 2시간 혹은 반나절 혹은 하루 또 일주일 등 기간을 정하고 일회용품을 절반으로 줄이거나 음식물 쓰레기 30% 감량 등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다.

이후 장바구니나 텀블러 등 다회용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세제나 샴푸 리필 스테이션을 활용한다. 또한 식재료 등은 계획적으로 구매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최소화한다. 아울러 불필요한 포장을 줄인 제품을 선택하고, 불필요한 물건은 사지 않으면 쓰레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혼자 ‘쓰레기 줄이기 챌린지’에 도전할 수 있지만 친구나 가족 혹은 SNS를 통해 챌린지 내용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도 있다. 하루 쓰레기 양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SNS 해시태그 등으로 인증할 수 있다. 누군가와 함게하면 서로 동기 부여가 될 뿐만 아니라 더욱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처음부터 모든 쓰레기를 없애려 하면 쉽게 지쳐버릴 수 있다. 하루에 하나씩 ‘줄이기 습관’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실천이 모여 도시, 나아가 지구의 변화를 만들 수 있다.

[기자 메모]

쓰레기 줄이기는 거창한 캠페인보다 생활 속 작은 변화를 통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텀블러 하나, 장바구니 하나가 만드는 차이를 경험해보시길 권합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