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외국인주민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이번 한국문화이해교육은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화·금융사기 피해유형△외국인주민 금융사기 피해 사례△국가기관 사칭 대처법△딥페이크 범죄 예방 등에 관한 내용을 제공한다.
14일 검찰청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약 5800건에 달하며, 범죄에 이용된 계좌 5만 4364개 중 4.1%가 이주노동자 명의의 통장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 5월, 법무부 출입국외국인본부(출입국심사과 등)와 산하 기관(외국인종합안내센터, 1345 콜센터), 그리고 출입국 직원을 사칭한 보이스 피싱 의심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며, 이주노동자의 금융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다.
또 '고액 현금 알바', '심부름 알바' 등의 광고에 속아 지원한 유학생들은 보이스 피싱 조직의 현금 인출책으로 이용되며, 범죄에 연루되는 피해 사례도 늘고 있다.
이처럼 보이스 피싱 범죄는 다양한 체류 자격을 가진 외국인 주민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이주노동자의 경우 언어 장벽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피해를 보더라도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해 더 큰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부산외국인주민지원센터는 이주노동자의 금융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4년 BNK부산은행·금융감독원과 외국인 금융사기 예방 및 금융역량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보이스 피싱 예방 교육을 진행했다.
더불어 올해 교육은 최신 금융사기 피해 사례와 안전한 금융거래 방법 등을 다루고, 다국어 번역본을 제공해, 이주노동자들의 금융안전 보호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