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평가는 탄소중립, 고용, 사회복지, 자원순환 등 38개 세부 지표를 통해 환경·경제·사회 세 분야의 회복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결과다.
성남시는 사회 부문에서 27.4점(40점 만점)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환경(18.6점/30점)과 경제(21.6점/30점)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조 의원은 먼저 환경 분야에 대해 "성남시는 탄소중립 달성이나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한 실질적 성과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며 선언적 계획에 그치고 있는 시의 기후 대응정책을 문제 삼았다.
경제 부문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됐다. 그는 "판교를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 집적은 도시 경쟁력의 일부일 뿐, 성남 전체의 경제를 대표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수정구와 중원구 등 원도심은 여전히 고용, 복지, 인프라 측면에서 성장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사회 부문에서의 높은 점수에도 불구하고 조 의원은 "복지나 교통 등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고 해서 도시 전체의 회복력을 담보할 수는 없다"며 "환경·경제·사회 세 축을 연결하는 통합적 전략 프레임워크가 성남시에는 부재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성남시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재정자립도 1위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종합 4위에 그친 것은 뼈아픈 성적표"라며 "이는 지난 4년간 성남시의 지역 회복력 정책에 대한 무관심과 준비 부족이 반영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조 의원은 "지금이야말로 성남시정의 전면적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균형 잡힌 도시 성장과 회복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