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여름철 찬 음료를 마신 후 치아에서 ‘찌릿’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일시적인 반응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이러한 치아 불편감은 치아 구조 손상이나 잇몸 질환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된 원인으로는 잘못된 양치 습관이 꼽힌다. 수평으로 강하게 문지르는 양치법은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위인 치경부를 마모시키며 상아질 노출을 유발한다. 이를 통해 온도나 압력 자극이 치수 신경에 전달되며 불편감 혹은 통증이 발생한다.
충치나 치주질환 역시 시린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충치는 상아질에 도달하면 시린 증상을 유발하고, 치주질환은 잇몸이 내려가 치아 뿌리를 노출시켜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만든다. 특히 잇몸뼈가 흡수되며 치아의 뿌리가 드러난 경우 시린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이갈이나 이를 악무는 습관도 치아에 미세 균열을 만들어 시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오래된 치아 보철물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오래된 보철물이 잇몸과 들뜨면 음식물이나 세균이 침투해 염증과 시림을 유발할 수 있어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치료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치경부 마모증의 경우 시린니 치약 사용이나 불소 도포, 약제 도포 등으로 완화할 수 있고, 상태가 심한 경우 레진 등의 수복 치료를 진행한다. 균열이 확인되면 신경 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는 방식이 사용되며, 충치나 치주질환이 원인일 경우에는 해당 질환을 먼저 치료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고, 칫솔질은 잇몸에서 치아 방향으로 쓸어내리듯 가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음료나 산성 음식을 섭취한 후에는 물로 입을 헹궈 산도를 낮추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갈이나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다면 스플린트 장치 등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단순한 시린 증상이라도 반복되거나 특정 치아에 국한된다면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미세한 균열이나 내부 손상은 겉으로는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하다.
당산 서울슬기로운치과 조영훈 대표원장은 21일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여름철에는 시린니 증상이 평소보다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며 “일시적인 증상이라고 무시하지 말고, 반복되는 시림이나 특정 부위에 통증이 집중될 경우에는 치아 균열, 마모, 잇몸 질환 등 다양한 원인이 숨어 있을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