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국제뉴스) 김만구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을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임태희 도교육감에게 전달했다고 도는 7일 전했다.
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전날 임 교육감에 전화를 걸어 도는 도교육청의 지침을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으며,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개선 조치의 보류를 요청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교육청 앞에서 열린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지침’ 규탄대회에 현장을 찾아 공동대책위 의견에 대한 지지의사를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이후 공동대책위와 도청 집무실에서 면담을 갖고 친환경 농가와 학교, 학부모들과 안정적 학교급식 공급 방안에 대해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친환경급식이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가장 안전한 식단을 제공해야 된다는 것"이며 "이는 친환경농가의 지원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 학생들의 건강을 경제적 효율성으로 따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입찰이 단기적 효율성이 있어보일 수는 있지만 학교급식의 거버넌스나 시스템이 무너지면 가격을 장담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는 이익이 없다”고 지적하고 “도, 교육청, 시민단체, 학부모 도의회까지 지금까지 쌓아온 협치의 인프라를 한순간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도가 예산지원, 예산의 우선순위 조정 등 해결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면담 직후 김 지사와 임 교육감은 다시 통화했고, 도교육청이 관련 조치를 보류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전달받았다고 도는 전했다.
임 교육감은 이날 오전 도교육청이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 계약 시 동일 업체와의 수의계약을 연간 5회로 제한하는 내용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갈등은 도교육청이 지난달 23일 학교 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개선하겠다는 공문을 일선 학교에 보내면서 불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