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난 현실화, 삽교호는 '위험수위'… "정부는 준설하라!" 당진시의회 촉구

김봉균 충남 당진시의원(사진/당진시의회 제공)
김봉균 충남 당진시의원(사진/당진시의회 제공)

(당진=국제뉴스) 백승일 기자 = 최근 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가 충남 서북부 지역에도 막대한 피해를 안긴 가운데, 삽교호의 퇴적물 준설사업을 조속히 추진해 기후 재난에 대비해야 한다는 강력한 목구가 나왔다. 당진시의회(의장 서영훈) 김봉균 의원은 제121회 임시회에서 '삽교호 준설사업 추진 촉구 건의안'을 대표 발의하며, 정부 차원의 즉각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기록적 폭우, 삽교호 주변 마을 '수난'… "일상된 기후 재난 대비해야"

지난 7월 16일부터 닷새간 이어진 기록적인 폭우는 당진시에도 뼈아픈 상처를 남겼다. 7월 17일 하루에만 305.8mm의 비가 쏟아졌고, 이틀간 누적 강우량이 400mm를 넘는 지역도 속출했다. 주택과 공공시설, 상가 등이 순식간에 물에 잠기며 막대한 재산 피해가 발생했고, 수많은 주민이 마을회관 등으로 긴급 대피해 밤을 지새워야 했다.

김봉균 의원은 "기후위기로 인한 이상기후는 더 이상 이례적인 현상이 아닌 일상적인 패턴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이에 더 늦기 전에 충남 서북부의 중요한 물 공급원인 삽교호에 대한 재해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44년 된 삽교호, '물그릇' 줄고 '재해 위험' 커져

삽교호는 1979년 삽교천 방조제 준공으로 조성되어 당진, 아산, 예산, 홍성 등 4개 시군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핵심적인 시설이다. 하지만 김 의원의 지적처럼 상류 하천에서 연간 약 60만㎥의 토사가 유입되면서 준공 당시 8,400만 톤이었던 총저수량이 2019년 기준 7,500만 톤으로 감소했다. 약 900만 톤의 '물그릇'이 줄어든 셈이다.

김 의원은 "쌓이는 토사로 물그릇이 작아지면서 재해 대응 능력은 약해졌다"며, 특히 "평상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일정량의 담수를 유지하고 있기에 해수위 만조 시 수문 개방이 지연되며 이번과 같은 기습적 폭우 상황에 대비하는 데는 한계가 발생한다"고 삽교호의 구조적 한계를 꼬집었다.

실제로 이번 폭우 당시 삽교천 유역인 합덕·우강·신평 일대 농경지는 완전히 침수됐고, 예산 삽교읍 하포1리는 제방이 무너지며 마을 전체가 물에 잠겨 100여 명의 주민이 긴급 대피하는 등 심각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

"준설은 선택 아닌 필수… 정부가 직접 나서야"

김봉균 의원은 이러한 피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삽교호의 재해 대응 능력 저하를 지목하며, "지자체에서는 한정적인 예산으로 배수펌프장과 수문 신설로 정비 계획을 마련하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한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대책이 바로 준설사업이라고 역설했다.

김 의원은 "삽교호 준설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할 중대한 과제"라며, 기후 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삽교호 퇴적물 준설사업의 조속한 추진과 함께 기후재난에 강한 하천·호수 관리체계 구축을 강력히 요구했다.

삽교호는 충남 서북부 지역의 중요한 물줄기이자 농업의 기반이다. 더 이상 '기후 재난'이라는 예측 불가능한 변수에 지역 주민들의 삶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 정부는 당진시의회의 건의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삽교호 준설사업을 포함한 실질적인 재해 대응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