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은 이제 화학 물질을 흘린다”... 과학자들, 강력한 국제 조약 촉구

Melanie Macgregor
Melanie Macgregor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플라스틱이 분해되며 내뿜는 화학 물질과 나노 입자의 누출이 인류와 지구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과학자들이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조약을 촉구하고 나섰다.



플린더스 대학교의 멜라니 맥그리거 부교수는 28일 본지에 제공한 자료를 통해 "플라스틱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에서 발생하는 유해 화학 물질과 입자의 '누출(leakage)'은 이미 전 지구적 오염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국제 사회가 이를 제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구속력 있는 조약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맥그리거 부교수는 오는 8월 5일부터 14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UN 주도의 플라스틱 조약 최종 협상(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을 앞두고, '효과적인 플라스틱 조약을 위한 과학자 연합(Scientists' Coalition for an Effective Plastics Treaty)'과 함께 정책 제안서를 공동 제출했다.



그는 "지금까지 생산된 플라스틱의 절반 이상이 2000년 이후에 만들어졌으며, 이 중 대부분이 일회용품이고 재활용률은 10%도 되지 않는다"며 "현재 추세대로라면 2050년까지 연간 생산량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경고했다.



특히 보고서는 1차 폴리머 생산과 폐기 과정에서의 나노플라스틱, 휘발성 유기화합물, 온실가스 등의 누출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 기준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맥그리거 부교수는 "페인트, 합성섬유, 화장품, 타이어, 산업용 연마재 등에서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미세 플라스틱 역시 나노 입자로 분해되어 환경 및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에게 흡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플린더스대 연구팀은 남호주의 7개 유역에서 수집한 담수 샘플에서 섬유(72%), 파편(17%), 구슬(8%) 등 다양한 형태의 미세 플라스틱이 존재함을 확인했으며, 이들이 해안 환경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제5차 INC 협상은 해양 환경을 포함한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Plastics Treaty) 마련을 목표로 한다. 과학자들은 “국가별 이해관계를 넘는 글로벌 규제가 마련되지 않으면, 플라스틱은 앞으로도 화학적 위협을 전 지구로 확산시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