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G7 중 첫 지지선언에 이스라엘 강한 반발







(MHN 오세나 인턴기자) 프랑스가 오는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G7 국가 중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것은 G7(미국·영국·프랑스·독일·캐나다·이탈리아·일본) 회원국 중 처음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자신의 SNS에 "중동의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평화에 대한 프랑스의 역사적 헌신에 따라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오는 9월 유엔총회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 결정을 통해 중동 평화에 기여할 의지를 확고히 했다. 또한 그는 “가자 지구 전쟁을 종식시키고 민간인에게 구호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외에도 인도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프랑스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갑작스러운 결정이 아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몇 달 전부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이 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프랑스는 유엔에서 두 국가 해법을 위한 국제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국의 압력과 이란과의 갈등 등 여러 요인으로 해당 회의는 연기되었고, 오는 9월 뉴욕에서 별도의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이스라엘·미국, "무모한 결정" 강력 반발



이스라엘과 미국은 프랑스의 발표에 즉각 반발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마크롱의 결정을 "테러를 부추기고, 이란의 대리세력을 양성할 위험이 있다"고 비판하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이스라엘의 존재를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라엘과 나란히 국가를 세운다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을 대신할 국가를 세우려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미국도 마크롱의 결정을 비판하며 이를 "무모한 결정"이라고 성토했다.미국은 트럼프 2기 집권 후 이전에 지지했던 '두 국가 해법'에 대해 애매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의 국가로서 공존하는 하는 방안을 말한다.



미국은 앞서 6월 각국 정부에 보낸 외교 전문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모든 조치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은 당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주최하는 회의에 불참할 것을 독려하며, 미국 외교 정책에 반하는 행동에 따른 '외교적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은 프랑스의 이번 결정에 대해 "하마스의 선전을 돕고, 중동 평화를 저해할 뿐"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미국은 프랑스가 주최하는 회의 불참 의사를 재차 밝히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대한 반대 입장을 확고히 했다.









중동·아랍권 "역사적 결정" 일제히 환영



반면, 중동 국가들과 하마스는 프랑스의 결정을 환영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외교부는 "팔레스타인인들의 독립 국가 설립에 대한 국제사회의 합의를 재확인하는 역사적인 결정"이라며 이를 높이 평가했다. 하마스는 "전 세계 모든 나라들이 프랑스의 모범을 따르길 촉구한다"고 밝혀, 국제적인 지지를 얻을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요르단 외무부 대변인은 자신의 SNS에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대한 국제 지지를 얻을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도 "네타냐후 총리가 파괴하려는 것을 함께 지켜야 한다. 두 국가 해법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며 마크롱의 결정을 지지하는 뜻을 전했다.









프랑스 대통령실 관계자는 프랑스의 이번 결정을 통해 9월 유엔총회에서 다른 나라들도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동참할 것을 예상한다고 전했다.



프랑스의 이번 결정이 국제사회와 가자 지구에 어떤 정치적·외교적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WIKIMEDIA COMMONS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