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문체부장관 후보로 지명된 최휘영 전 네이버 대표를 둘러싼 비리 의혹이 줄줄이 제기되며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자진사퇴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29일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김승수 의원은 “최 후보자는 내부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 증여세 탈루와 대납, 자녀 특혜 취업 및 영주권 편법 취득 등 비리 종합세트를 갖춘 인물”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최 후보자는 2017~2018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발표 직전 해당 지역 부동산을 집중 매입한 정황이 있으며, 장남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과정에서 세금 탈루 의혹도 받고 있다.
2021년에는 배우자와 장녀에게 네이버 주식을 증여한 직후, 회사가 역대 최고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했으며 이 과정에서 1억2천만 원의 증여세를 줄였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특히 무직 상태였던 장녀가 수천만 원의 증여세를 자력으로 납부한 점은 대납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아빠 찬스 의혹 역시 논란이다. 장녀는 미국 대학 졸업 직후 네이버 자회사에 입사한 뒤 2019년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고 곧바로 퇴사했으며, 후보자가 관련 자료 제출을 거부하면서 특혜 채용 및 편법 취득 의혹이 커지고 있다.
최 후보자가 공동대표로 재직했던 플랫폼 기업 놀유니버스는 공정위 조사 대상이며, 본인도 해당 기업의 비상장 주식 60억 원 상당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산업에 대한 이해충돌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과거 대표 재직 당시 네이버와 인터파크트리플 등이 허위·기만 광고로 행정처분을 받은 사례도 도덕성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문화예술계 역시 반발 중이다. 문화연대, 예술인연대 등 관련 단체들은 후보자의 전문성과 공감력 부족을 비판하며 대통령실 앞에서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김 의원은 “최 후보자는 공직에 부적합한 인물로, 즉각 사퇴하고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