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 허위조작감시단은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포털사이트 다음의 뉴스 댓글 시스템 개편이 김건희 여사의 개입에 따른 여론 통제 시도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해당 사안에 대한 특검의 전면 수사를 요구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대통령실 내부에서 포털 뉴스 댓글에 대한 통제 필요성이 논의됐으며, 김 여사가 진보 성향 이용자가 많은 다음 포털 댓글창에 강한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해당 입장이 ‘김건희 라인’을 통해 카카오 측에 전달되었고, 2023년 6월 8일 다음은 기존 공감순 댓글창을 24시간 자동 닫히는 ‘타임톡’ 방식으로 개편했다.
당시 시기와 맞물려, 카카오모빌리티 등 계열사는 김 여사와 연관된 인물 김예성 씨가 실소유한 기업 IMS모빌리티에 184억 원의 투자를 집행한 사실이 특검 수사로 확인되면서, 해당 개편 조치가 우회적 로비와 여론조작 의혹으로 번지고 있다.
허위조작감시단은 “김건희 여사가 뉴스 댓글 시스템 변경에 직접 관여했다면 이는 도덕성을 넘어 헌정 질서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특검은 대통령실과 김건희 씨가 개편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카카오 측 역시 뉴스 댓글 시스템 변경 과정에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를 분명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네이버에 대해서도 강력한 경고를 던졌다. “공감순 정렬 방식은 ‘리박스쿨 사건’, 김건희·한동훈 댓글부대 의혹 등 여론조작의 통로가 되고 있다”면서 “네이버는 댓글 정렬 시스템을 최신순 등으로 전면 개편하여 정상적인 여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허위조작감시단은 “제도적·법률적 통제가 가해지기 전에 네이버와 카카오는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진실을 밝히고 시스템 개편이 이뤄질 때까지 강력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