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제2차 PSR 결과 도출된 안전성 증진 사항 승인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는 24일, 제217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2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먼저, 심의·의결 제1호 안건에서 원안위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이 신청한 핵연료물질 사용 등 변경허가(안)를 승인했다.



이번 변경허가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이 핵연료물질 분석 및 검증 기술 향상을 위해 핵연료물질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교차분석 프로그램에 참여함에 따라, 국제원자력기구(IAEA) 및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가핵안보청(NNSA)으로부터 제공받는 플루토늄 시료를 분석하기 위해 플루토늄을 증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안위는 해당 핵연료물질의 최대량을 사용하더라도 외부 방사선량률은 기준값 이하이며, 핵분열이 일어날 수 있는 최소 임계질량보다 적어 연쇄적인 핵분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 수준임을 확인했고, 이에 따른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연간 피폭선량도 0.1243mSv(밀리시버트)로 선량한도(50mSv)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심의·의결 제2호 안건과 관련, 원안위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제출한 월성 2호기 및 한울 1·2호기 제2차 주기적 안전성평가(PSR, Periodic Safety Review) 결과 도출된 안전성 증진 사항을 승인했다.



주기적 안전성평가는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모든 원전이 10년 주기로 수행하는 종합적 안전성 평가다. 14개 평가 항목으로 구성돼 있으며, 그간 축적된 운전 경험 등을 활용해 평가하고, 현행 기술기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안전성 증진 사항을 도출한다.



원안위는 이번 평가를 통해 월성 2호기는 현행 기술을 반영한 지진취약도 분석 등 6건, 한울 1·2호기의 경우 인간-시스템 연계 설비에 대한 인간공학 평가 체계 개선 등 7건의 안전성 증진 사항이 도출됐으며, 원안위는 해당 안전성 증진 사항이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한수원의 이행 현황을 지속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