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를 개최했다.
그간 국가 신분증으로서 법적 효력을 갖는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지난해 개방한 삼성월렛에서만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 개방으로 삼성 스마트폰에서는 KB스타뱅킹 앱, 네이버 앱, NH올원뱅크 앱, 토스 앱, 카카오뱅크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아이폰의 경우 새로 개방된 앱 중 카카오뱅크 앱, 토스 앱에서만 발급 사용이 가능하다.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사업은 지난해 모집 공고를 통해 참여 사업자를 선정했고, 각 참여 사업자는 개발 지침 등에 따라 구축했다.
행안부는 엄격한 보안, 품질, 성능 평가를 위해 작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및 금융보안원과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각 참여사업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모바일 신분증은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 위험이 적고, 온라인 비대면 환경에서도 정확한 신원 확인이 가능하다.
모바일 신분증은 이용자의 단말기 보안 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고, 중앙 서버에는 별도 저장되지 않아 데이터 센터가 해킹되더라도 신분증 정보는 유출 없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더라도 지문, 안면 인식 등 생체인증 또는 6자리 앱 비밀번호 없이는 사용이 불가해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의 우려가 적다.
스마트폰이 없어진 경우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이나 '모바일 신분증 콜센터', 각 통신사 콜센터로 신고하면 스마트폰에 발급된 모든 모바일 신분증이 중단된다.
한편,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외국인등록증·국가보훈등록증은 모바일 신분증으로 발급·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