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 "동남권 메가시티 심장, 철도로 뛴다"… 국가철도망에 9.4조 규모 사업 건의


-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2025년 말 확정 50~60조 원 투자 예정



- 창원시, 5개 노선 건의중앙역 연결선 빠지면 트라이포트 무산



- 동부지역 주민 도시철도 계획서조차 없다지금이 마지막 기회



- 행정당국 타당성 확보·주민 공감대·노선 검토 모두 병행 중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동대구- 창원- 가덕도신공항 고속화철도 노선도 (사진/제공=이광용기자)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동대구- 창원- 가덕도신공항 고속화철도 노선도 (사진/제공=이광용기자)




창원특례시(장금용 시장 권한대행)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을 앞두고 동남권 핵심 교통허브 도약을 위한 대규모 철도사업을 정부에 건의했다.



총 9조4,500억 원 규모, 연장 249.8km에 이르는 5개 노선이 포함됐으며, 동부권 철도 소외 해소와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 구상의 실현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창원시가 건의한 주요 노선은 ▲동대구창원가덕도 신공항 고속철(84.52km) ▲진해신항선(진해신항창원중앙) ▲창원산업선(대합산단창원중앙) 등이다. 시는 특히 진해신항과 가덕도신공항을 연결하는 ‘창원중앙역 연결선’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김정호 창원시 신교통추진단장은 “연결선이 빠질 경우 남부권 성장축 계획이 무산될 수 있다”며 “이번 국가계획이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철도 소외에 분통 터뜨린 주민들… “7만 도시가 왜 빠졌나”



지난 7월 16일 창원시 진해구 웅동2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는 이치우 경남도의원, 심영석‧한상석 창원특례시의원, 신차윤 진해동부지역발전협의회장, 김정호 창원시 신교통추진단장, 박승희 웅동2동 주민자치위원장등 70여 명의 주민대표들이 참석해 철도망 계획 반영을 촉구했다.



현재 진해 동부지역에는 약 8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은 “1시간 넘게 걸려야 김해를 거쳐 부산에 닿고, 직선도로조차 없다”며 철도 소외 현실을 성토했다.



이치우 경상남도의원은 “도와 시가 힘을 합쳐 창원 패싱이 없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심영석 창원특례시의원도 “웅동, 용원 등 동부지역은 생존권 사각지대”라며 “철도는 교통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승희 웅동2동 주민자치위원장은 “버스도 철도도 없는 현실에 주민들은 낙심하고있다”며 “지금이 바꿀 마지막 기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정호 창원시 신교통추진단장이 주민설명회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이광용기자)
김정호 창원시 신교통추진단장이 주민설명회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이광용기자)




창원시는 2023년부터 철도망 기본구상 용역을 진행해 최적 노선을 도출했으며, 올해 2월 국토부에 공식 건의서를 제출했다. 이후 국토부 차관, 철도국장 면담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해 공약화 작업도 병행 중이다.



시는 부산신항 철도를 기존 지상 통과안에서 지하화로 전환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김정호 단장은 “사업비가 2,000억 원 이상 늘지만 반드시 관철 시킬수 있도록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창원 동부권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도시철도 연장에 대한 주민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주민들은 “행정은 주민 의견부터 들어야 한다”며 “추진위 결성과 정부 설득에 시민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 주민은 “도시철도 동부권 연장에 감사하지만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며 “도의회와 시의회가 나서 5년 내 현실화 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