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계탕 백숙 질리는데"...초복 중복 말복 보양식 추천 메뉴는?

초복, 삼계탕, 백숙 / 국제뉴스 DB 
초복, 삼계탕, 백숙 / 국제뉴스 DB

2025년 삼복(三伏) 중 첫 번째 복날인 초복이 오는 7월 20일 찾아온다. 중복은 7월 30일, 말복은 8월 9일로, 이 삼복 기간은 1년 중 가장 더운 '삼복더위'로 불린다.

우리 조상들은 이 시기에 땀을 많이 흘려 떨어진 기력과 면역력을 보충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건강하게 여름을 보내기 위해 영양식을 챙겨 먹는 지혜로운 풍습을 이어왔다.

초복은 하지 후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하지 후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에 해당한다.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인 경우를 월복(越伏)이라 부르기도 한다.

삼복의 유래는 중국 진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사마천의 '사기(史記)'에도 삼복에 제사를 지내고 고기를 나누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농경 사회에서 여름철은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였기에, 더위에 지친 백성들을 위로하고 무더위를 이겨낼 수 있도록 보양식을 먹고 휴식을 취하는 풍습이 생겨났다. 또한 해충이 많이 발생하던 시기여서 해충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 행위와도 관련이 있었다.

옛 선조들은 삼복더위를 피하기 위해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이나 산을 찾아 놀았으며, 궁중에서는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과(氷菓)를 주거나 장빙고에서 얼음을 나누어주기도 했다.

민간에서는 더위를 막고 몸을 보신하기 위해 삼계탕(계삼탕)이나 보신탕(구탕)을 즐겨 먹었다. 특히 삼계탕은 닭고기와 여러 한약재를 넣고 푹 고아 만든 대표적인 보양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복날 대표 음식인 삼계탕은 뜨거운 국물을 통해 '이열치열(以熱治熱)'하여 더위를 이겨내는 지혜가 담겨 있다. 닭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면역력과 기력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동의보감에서도 허약한 것을 보충해준다고 소개된다. 함께 들어가는 인삼은 간 기능 회복과 면역력 증진, 피로 해소에 효과적이며, 마늘은 대표적인 항산화 식품으로 강장 작용과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뜨거운 국물 음식보다 다른 것을 선호한다면 '보양식의 황제'라 불리는 장어가 좋은 선택이다.

장어는 필수 아미노산, 단백질, 불포화지방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아연, 셀레늄 등 면역력 강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기력 회복, 노화 예방, 피부 미용에 효과적이며, 구이, 찜, 조림, 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하여 취향껏 즐길 수 있다.

시원한 음식을 선호하는 이들에게는 콩국수가 초복 보양식으로 추천된다.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 만큼 식물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슘, 철분, 마그네슘 등 영양소가 풍부하여 기력 보충과 피로 개선에 효과적이다.

'추어탕' (사진=KBS2)
'추어탕' (사진=KBS2)

또한, 미꾸라지 추어탕 ,전복, 육개장, 흑염소 등이 초복 보양식 메뉴로 주목받고 있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