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자가혈소판 풍부혈장(PRP) 주사치료가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비수술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동안 팔꿈치나 회전근개 손상 등 국소 질환에 주로 활용되던 PRP가 최근 신의료기술로 무릎관절에도 적용 가능해지면서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되고 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노화, 외상 등의 원인으로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며 통증과 운동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다. 질환이 진행돼 말기 상태에 이르면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하지만, 초기나 중기에는 연골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증상 악화를 늦추는 치료가 권장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PRP 치료는 의미 있는 대안이 된다. 환자 본인의 혈액에서 혈소판이 다량 포함된 성분을 추출해 관절강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염증을 억제하고 연골 주변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성장인자가 포함돼 있어 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무릎관절염은 단순한 통증을 넘어 환자의 활동성과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떨어뜨리는 질환”이라며 “PRP 주사는 수술이 어려운 고령자, 회복 기간이 부담스러운 직장인, 혹은 스포츠 외상 이후 관절 기능이 저하된 젊은층에게도 적합한 치료법”이라고 설명했다.
PRP 주사는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고, 입원이나 마취 없이 바로 일상 복귀가 가능한 점에서 환자의 부담이 적다. 무엇보다 일시적인 통증 완화를 넘어 관절 기능 자체를 회복시키는 데 목적이 있어 보다 근본적인 증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고 병원장은 “PRP 치료는 단순히 아픈 부위를 달래는 것이 아니라, 관절의 구조와 기능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무릎 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개인의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