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지역 아우르는 북극항로 국가정책 설계 필요"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북극항로지원단은 10일, 부산 영도구 KMI 대회의실에서 '북극항로 연구기관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북극항로 연구기관 간담회 모습/제공=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극항로 연구기관 간담회 모습/제공=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이번 간담회는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해 관련 산업 및 지역의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 과제 도출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됐다.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극항로지원단 및 산업별·지역별 주요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간담회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민수 북극항로지원단장의 개회사 및 취지 설명을 시작으로, 김엄지 극지전략연구실장이 북극항로의 일반현황을 소개했다.

산업별 세션에서는 △철도 인프라 연계(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박정준 책임연구원) △조선산업 대응 전략(중소조선연구원 이한성 본부장) △에너지 운송 시나리오(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규 실장) △극지 기후변화 대응(극지연구소 정지훈 실장) 등 산업별 현재 논의사항 및 정책사업 제안을 발표했다.

이어진 지역별 세션에서는 △부산항 중심의 북극항로 활성화(부산연구원 장하용 실장) △경남 조선·기자재 산업 기반 활용(경남연구원 박병주 본부장) △동해권 항만 연계와 인프라 확충(경북연구원 정원조 부연구위원) 등 지역별 북극항로 현안을 공유하고, 정책사업을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토론을 통해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거점 항만 지정 △산업·지역 간 연계 체계 구축 △정보 공유 및 예측 모델 고도화 등 실질적인 정책 과제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북극항로는 향후 국제물류의 새로운 축이 될 수 있는 전략적 통로로, 이를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것은 산업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지역 균형발전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전하며 "오늘 간담회가 산업과 지역이 함께하는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이번 간담회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및 지역 기반의 북극항로 연계 전략을 구체화하고, 향후 중장기 정책 제안 및 실행 방안 마련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야

포토 뉴스야

방금 들어온 뉴스야